생각들/주린이, 부린이

GLUX를 매수하기로 함

JNKIM 2021. 7. 3. 21:16


"상위 10%가 전체 소득의 거의 50%를 독식하는 체제를 만들었다. 문제는 이로 인해 사회의 소비수요가 팍 줄어든다는 것이다. 중산층과 서민들은 사실 버는대로 소비할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그러나 소득과 부가 상위 극소수계층으로 몰리면 그들은 소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사회 전체적으로 봤을 때 소비가 크게 줄어드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생산성의 향상으로 상품은 넘쳐나는데 수요 부족으로 소비가 크게 줄어들어 투자 역시 급감했다."
돈의 인문학 by 홍익희; pp.278~279.

부가 갈수록 최상위 자산 계급에 편중되는 건 각종 데이터 뿐만 아니라, 압구정 로데오를 지나다니는 차들이나 강남 신세계 식품관 고객들의 옷차림을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5년 전만하더라도 Benz E class나 BMW 520d만 타도 "좋은 차 타네. 부럽다."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그러다가 2010년대 초중반부터는 520d가 '강남 소나타'라고 불리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Porsche Panamera나 Maserati Ghibli 정도는 타야 사람들이 관심 갖고 차에 대해 칭찬하게 된 것 같다.(Audi는 보이지도 않는다)

가방도 15년 전까지만 해도 Louis Vuitton이 대세였지만 이제는 확실히 Louis Vuitton의 인기는 시들해지고, Chanel 아니면 Hermes가 대중화되고 있음을 느낀다.

악세사리의 경우에도 15년 전에는 Tiffany 정도만 돼도 꽤 괜찮은 브랜드였는데, 어느 새부턴가 Van Cleef & Arpels이 대중화되기 시작하더니(이미테이션이 많긴 하겠지만...) 급기야 서울에 Graff 매장이 2개나 생겼다.

자산 중상위층~하위층의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plateau를 유지하게 될 것이며, 수요의 증가는 주로 자산 최상위층~상위층에 의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아무리 돈이 많다한들 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의 양은 정해져 있고, 한 번에 입고 착용할 수 있는 옷이나 장신구의 양은 정해져 있다. 따라서 한 끼를 먹더라도 더 고급으로 먹고, 옷 한 벌을 입더라도 더 고급으로 입고, 반지를 하나 끼더라도 더 고급으로 끼게 될 것이다.

비록 사치품 관련주들이 지난 1년간 폭등했고 PE ratio도 S&P500 평균 대비 아주 높은 편이지만 그래도 사치품에 대한 수요만은 계속 증가할 것이라 생각되어 뒤늦게나마 동참하고자 한다.

자산 양극화가 심해질수록 더 가치가 높아지는 업종이다. 선진국들의 사상 초유의 유동성 공급과 그에 따른 자산 양극화 심화로부터 가장 크게 수혜를 받는 업종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반면 양극화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부터 수혜를 받는 업종 ETF는 XLI)

상장된 럭셔리 회사 중에는 그나마 가장 최상위 브랜드(를 소유한) Hermes와 Richemont만을 사고 싶었으나, 미래에셋에서 유럽 주식 거래 수수료 0.3%, 최소 수수료가 30유로이고, 수수료 덤탱이를 피하기 위해 각각을 10,000유로씩 살 돈은 없어서 그냥 퉁쳐서 GLUX를 사기로 했다. 세계인의 벤치마크인 S&P500을 이길 확률이 높아보이진 않으나 그래도 아이디어를 확인해본다는 의미도 있어서 매수를 강행해보려 한다. 최소 수수료 때문에 분할 매수가 꺼려지는 것이 가장 큰 단점. 유로화는 배당 받으면 애매한데 다행히 GLUX는 배당을 주지 않는다.

투자와는 별개로, 이렇게 세계의 부와 소득 수준이 극단적으로 양극화되어 가는 것은 정말 걱정스러운 일이다.

Estee Lauder 그룹의 La Mer 크림도 갈수록 대중화되는 중